1. OS 설치용 ISO 파일 다운로드.
https://developers.redhat.com/
사이트에 방문하여 아래와 같이 Product > Red Hat Enterprise Linux 선택합니다.
Download 메뉴를 선택.
페이지의 가장 아래로 스크롤바를 내려서 다음과 같이 원하는 버전의 OS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시도합니다.
** 설치 이미지 차이점
Boot.iso : 최소 부트 이미지로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지만 설치할 소프트웨어가 있는 추가 패키지
리포지터리에 액세스해야 합니다.
DVD.iso : 전체 설치 이미지로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추가 패키지 리포지터리없이 전체 설치를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VMware 구동
VMware 실행 후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선택.
OS 설치 Iso는 나중에 설치 (system later) 클릭. (바로 설치해도 큰 문제 없음)
설치 예정인 OS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선택합니다.
가상머신의 이름 및 설치 될 디렉토리 지정.
가상머신 용량 및 파일 저장형태를 지정합니다.
(split 선택 시 디스크 파일이 여러 파일로 분산 저장)
용량은 보통 100~200 GB 사이를 선택합니다.
Finish 이후 ‘Edit virtual machine setting’ 선택
단순 Test 용이면 Memory 2GB, Processors 2~4개 정도가 적당합니다.
용도에 따라 메모리 용량과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CD/DVD Use ISO 선택하여 RHEL 설치 ISO 위치 지정
OK 눌러서 가상 머신 설정 완료
3. OS 설치
VMware에서 RHEL 실행, 설치 시작
설치 진행 중
언어 선택 창. 한국어 선택을 원하면 korea 검색하여 선택할 것. 이후 설치과정에서도 반복해서 언어 설치가 가능하니
바로 넘어가도 무방.
환경 설정 메뉴. ! 표시가 된 부분은 필수 작성.
환경 설정
1) DATE & TIME
- Asia / Seoul로 설정.
2) software selection
- 좌측 'Base Environment'에서 ‘server with GUI’ 체크. <= 기본적인 GUI 적용, 미적용 시 CLI만 남게 됩니다.
- 우측 추가 환경 설정에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레거시 호환성(Compatibility), 개발 도구(Development tool), Java Platform
등의 항목을 적용합니다.
3) installation destination
- Cumsuom 체크 후 Done.
- Standard Partition과 LVM중 상황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
** 디스크 관리 방식
Standard Partition (표준 파티션)
표준 파티션은 가장 기본적인 디스크 파티셔닝 방식입니다. 디스크를 여러 개의 물리적인 구획(파티션)으로 나누어 각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할당.
LVM (Logical Volume Manager)
LVM은 디스크 파티셔닝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방식입니다. 여러 개의 물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볼륨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눌러 /home, /boot, swap 등의 기본 파티션 할당.
1. /boot
- 부팅에 필요한 파일이 저장되는 곳. 보통 500MB~1GB 사이로 설정. (필수)
2. swap
- swap 파티션은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할 때 디스크의 일부를 가상 메모리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시스템이 물리적 메모리를 모두 사용하면, swap 영역이 활성화되어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시스템 충돌을 방지. 일반적으로 swap 크기는 물리적 메모리(RAM) 크기의 1배에서 2배로 설정 (필수)
3. /home
-/home 파티션은 각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별로 고유한 홈 디렉토리가 있으며, 여기에 문서, 설정 파일, 다운로드 파일 등이 저장됩니다. /home 파티션을 별도로 설정하면, 시스템을 재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사용자 데이터와 설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파티션을 포맷해도 /home 파티션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 입니다.
4. /
- 루트 파티션.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가 시작되는 최상위 디렉토리입니다.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모든 파일들이 여기에 포함. (필수)
- user partitioning
/boot 1GB <== 필수항목, 500MB ~ 1GB사이
swap 8192MB <== 필수항목, 보통 Memory의 2배. 아래 테스트 에서는 넉넉하게 할당한 편.
/home 20GB <== 필수 X, 딱히 지정하지 않아도 문제없음(root 아래에 자동 생성)
/ 나머지 <== 필수항목, /root 항목.
4) kdump
- disable로 변경
5) security policy
- off로 변경
6) network & hostname
- on으로 변경
- Configure > IPv6 setting > Method > Ignore
Configure > IPv4 setting > Method > Manal
(자동이어도 문제 없음, 다만 IP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고정)
- 로컬호스트 네임을 RHEL8 로 변경
7) Root Password
-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8) User Creation
- 기본 유저 ID/PW 설정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설치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 완료 대기 중
설치 완료 후 라이센스 등록 문의
체크박스 체크 하여 완료
설치과정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로 로그인
언어설정, 키보드설정, 위치확인 설정 등 체크하고 넘기면 설치 완료.
메인 화면
좌측 상단의 Activities 클릭하면 터미널과 파이어폭스, 기타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팝업됩니다.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_SQL] 함수 (0) | 2024.08.19 |
---|---|
[Oracle_SQL] SQL 기본 문법 (0) | 2024.08.19 |
[파이썬 기초] 파이썬 설치 (0) | 2024.04.01 |